Post

CCNA 공부를 위해 - 네트워크 기초 부터 스위치까지

공부하고 기억하기 위한 기록

네트워킹이란?

네트워킹 (Networking)은 ‘장비가 서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묶어주는 것’ 이다.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인터넷 (Internet) :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묶은 것

  1. 프로토콜(대화규칙 : TCP/IP)를 사용한다.
  2. 웹 브라우저를이용해 탐험이 가능하다.

인트라넷 (IntraNet)

내부 네트워크

엑스트라넷 (ExtraNet)

인트라넷을 기업 내 외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LAN(Local Area Network)

어느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WAN(Wide Area Network)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더넷 (Ethernet)

인터넷 아닙니다. 이더넷은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다.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게 된다.

쉽게말해 통신하려는 네트워크를 살펴본 후 아무도 통신하고있지 않으면 본인 데이터를 실어보내고 잘 보내졌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Carrier Sense : 네트워크 자원(캐리어)를 감지한다.

Multiple Access : 동시에 접속이 가능하다.

Collision Detection : 여러 장비가 동시에 정보를 전달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이 감지되면 랜덤한 시간동안 최대 15번 까지 데이터 전송을 시도하고 그 이후에는 데이터 전송을 포기한다.

토큰링 (TokenRing)

  이더넷은 데이터를 보내고 싶으면 마음껏 보내지만 토큰링 방식은 네트워크상에서 토큰을 가진 한 PC만이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방식이다.

TP 케이블

Twisted - Pair Cable

UTP 케이블

Unshielded Twisted - Pair Cable

케이블 주위를 절연체로 감싸지 않음

STP 케이블

shielded Twisted - Pair Cable

케이블 주위를 절연체로 감싸고 있음

주로 토큰링 쪽에서 사용

카테고리 -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서 나뉜다.

  • 카테고리 1 : 전화망에 사용, 데이터 전송용 X
  • 카테고리 2 : 4Mbps 속도로 데이터 전송
  • 카테고리 3 : 최대 10Mbps, 속도까지 데이터 전송가능
  • 카테고리 4 : 최대 16Mbps, 토큰링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 카테고리 5 : 최대 100Mbps, 였으나 이제는 Gbps속도의 전송도 가능해짐
  • 카테고리 6 : 최대 10Gbps , Cat6와 Cat6a 케이블로 구분되고 a가 붙은 케이블이 좀 더 개선된 케이블이다.
  • 카테고리 7 : 10Gbps 이상의 속도 지원

케이블 이름

예시를 들어보자

  • 10 Base T

10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Baseband용(베이스밴드- 디지털방식, 브로드밴드 - 아날로그 방식)이고 T(Twisted Pair) 케이블이다..

  • 10 Base T : 10Mbps로 통신하고 최대 전송거리 100M인 UTP케이블
  • 10 Base FL : 10Mbps로 통신하는 광케이블 FL(Fiber - Optic)
  • 10 Base 2 : 10Mbps로 통신하고 200M까지 전송가능한 케이블

이런 식으로 명명된다.

맥 어드레스 (MAC Address)

MAC (Media Access Control) OR Physical Address (물리적 주소)

IP, IPX (Logical 주소)

  •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

네트워크 장비들은 48bit(6Octet)의 주소를 갖는다. 이 주소를 맥 어드레스 혹은 하드웨어 주소라고 한다. 맥 어드레스는 8자리마다 - : . 으로 고분된다.

앞쪽 6개의 16진수는 벤더(생산자)를 의미한다. 이 코드를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라고 한다. 뒤에 나오는 6자리 수는 Host Identifier(시리얼 넘버)이다.

1
2
3
 O는 OUI, H는 host identifier

 OOOO.OOHH.HHHH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Unicast, Broadcast, Multicast

유니캐스트 (Unicast)

1 대 1,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MAC주소가 프레임에 들어있다.

  • 여러 사람한테 보내게 되면 트래픽이 증가하기에 그 때에는 Multicast를 이용한다.

편지 보내기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로컬 랜(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붙어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

  • 브로드캐스트 MAC 주소는 정해져있다. (FFFF.FFFF.FFFF)

  • 처음 두 PC 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상대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한다.

  • 브로드캐스트는 유니캐스트와 달리 CPU에 영향을 주게된다.

동내 이장님 방송

멀티캐스트 (Multicast)

그룹 멤버들에게만 한번에 보낼 수 있다.

  •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기능을 지원해 주어야지만 사용가능하다.

  • 만약 지원되지 않는 라우터나 스위치를 사용하면 스위치는 모든 포트에 뿌리고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라고 인식하여 차단한다.

정리

  • 유니캐스트 - 특정 한 PC에만 보내는 방식
  • 브로드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안에있는 모든 PC에 전송, PC(CPU) 성능이 떨어지게된다.
  • 멀티캐스트 - 위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해 놓았지만 라우터나 스위치가 지원하여야 사용 가능하다.

OSI 7 Layer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Physical Layer (피지컬 계층)

애프세트네데피 로 외워봅시다.

가장 아래 계층 레이어 1 Physical Layer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해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MAC 주소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계층에서 전송되는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브리지, 스위치

레이어 3 NetWork Layer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 선정,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달해 주는 역할.

라우터, Layer 3 스위치

레이어 4 Transport Layer

흐름 컨트론, 에러 복구 기능을 가진다.

TCP, UTP

보낼 떄에는 AH -> PH

받을떄에는 PH -> AH

보낼 때에 여러 헤더와 같은 정보가 붙기에 속도가 좀 더 느리게 나온다.

프로토콜 (Protocol)

PC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협약, 규약이다.

같은 프로토콜을 가져야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TCP, UTP - 트랜스포트 계층 IP - 인터넷 계층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에서 사용하는 방법 - 요즘에는 거의 없어졌다.

IP주소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주소, 둘이쓰면 충돌나서 한명 밖에 못쓴다.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공인 주소를 관리한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 주소를 사용하고 인터넷으로 나갈 떄에만 공인 주소를 사용하는 방법

IPv4의 수는 최대 2^32개이다.

IPv6의 수는 최대 2^128개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PC마다 하나하나 IP 주소를 미리 지정해 놓지 않고 DHCP 서버가 네트워크에 필요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가 자동분배해주는 방식

NIC | 랜카드

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어뎁터

PC의 버스 방식

버스 (컴퓨터에 데이터가 날아다니는 길)

PCI, ISA, EISA 방식이 있다.

HUB 허브

같은 허브에 연결된 PC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 = 멀티포트(Multiport) 리피터 (Repeater)

UTP 케이블 최대 거리가 대부분 100미터이지만 리피터를 이용하여 거리를 더 늘릴 수 있다.

허브는 CSMA/CD 방식을 사용한다.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PC를 같은 Collision Domain에 있다고 한다.

파워를 넣으면 바로 작동 - 명령어 불필요

HUB의 종류

Intelligent hub, Dummy hub, Semi-Intelligent hub, Stackable hub

인텔리전트 허브 (Intelligent hub)

지능형 허브

NMS(Network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데이터 분석, 제어 등 관리 가능

문제가 발생한 PC가 연결된 포트를 자동으로 고립(네트워크에서 불리)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분리된 포트는 허브에서 램프(LED)로 표시되기 떄문에 조치가 쉬워진다. (Auto Partition)

세미 더미 허브 (Semi Dummy hub)

카멜레온

인텔리전트 허브와 연결하면 인텔리전트 허브가 되고

혼자 있을 때는 더미 허브

스태커블 허브 (Stackable hun)

쌓을 수 있는 허브

다른 장비에는 형향을 주지 않는다.

단독형(Standalone)에 비해 효율적으로 설계되었다.

브리지 (Bridge), 스위치 (Switch)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

속도 : 브리지 < 스위치

### 스위치 (Switch)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누어져 있다. 고로 PC들도 동시 통신이 가능하다.

이거 자꾸 까먹는다.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이다.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위는 고속도로로 네트워크 흐름을 비유한 것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가격 : 허브 < 스위치

속도 : 허브 > 스위치

허브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채팅이나 메일 용도

허브는 콜리전 도메인을 나눠줄 수 없지만 스위치는 가능하다

스위치는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스위치는 라우터까지의 길 또한 콜리전 도메인에 포함된다.

브리지 (Bridge)

브리지는 허브로 만들어진 콜리전 도메인 사이에 중간 다리를 놓는 것

사실상 스위치와 사촌

브리지, 스위치의 기능

  • Learning 배운다.
  • Flooding 모르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다른 모든 포트로 뿌린다.
  • Forwarding 해당 포트로 건네준다.
  • Filtering 다른 포트로는 못 건너가게 막는다.
  • Aging 나이를 먹는다?

Learning : 출발지의 MAC 어드레스를 배운다.

어떤 컴퓨터가 브리지나 스위치를 통해 통신을 하기 위해 프레임을 보내면 보낸 PC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 (브리지 테이블)에 저장한다.

Flooding :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린다.

Mac 어드레스 테이블에 없는 주소일 경우

브로드캐스트나 멀티 캐스트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Forwarding (포워딩) : 목적지가 어디있는지 알고 있지만 목적지가 다리를 건너야 하는 경우 발생한다.

Flooding과 달리 특정 포트에만 프레임을 뿌려준다.

Filtering (필터링) : 브리지를 넘어가지 못하게 한다.

목적지의 MAC주소를 알고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 브리지를 건너가지 않아도 통신을 할 수 있을 경우 필터링한다.

이 기능으로 인해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다.

Aging : 나이를 먹는다?

브리지 테이블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정보를 브리지 테이블에서 지우게 된다. 마치 우리 머리 속처럼.

디폴트 기억시간은 5분

300초가 지나도록 그 출발지 주소를 가진 프레임이 들어오지 않으면 브리지 테이블에서 삭제시킨다.

Aging 타이머를 리프래시 (Refresh)한다 : 시간 안에 브리지로 들어오게 되면 타이머를 리셋하고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 한다.

###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속도 : 스위치가 브리지에 비해 훨씬 빠르다.

스위치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브리지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한다. 사용한다.

속도 지원

스위치는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지만 허브는 모든 포트가 같은 속도만 지원된다.

포트 수

스위치는 브리지에 비해 제공하는 포트 수가 훨씬 많다.

프레임 처리 방식

스위치 : Cut-through, Store-and-forward

브리지 : Store-and-forward

  • 스토어 앤 포워드 (Store-and-forward) :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 후 처리, 에러가 발생하면 프레임을 전부 버리고 재전송 요구, 에러 복구 능력 뛰어남

  • 컷스루 (Cut-through) : 프레임의 목적지와 주소만 본 후 바로 전송 처리, 목적지 주소만 보고 바로 보내기에 처음 48bit만 본다. 에러 복구 능력 부족

  • 프래그먼트 프리 (Fragment-free) : 위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 처음 512bit만 보고 에러 판단

Looping

프레임이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 돌게되어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해지는 상태

브리지/스위치에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개 이상 존재하면 루핑 발생

루핑

이 현상을 막기 위한 알고리즘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Algorithm)

폴트 톨러런트 (Fault Tolerant),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폴트 톨러런트

두 대의 라우터로 네트워크를 구성 한 후 한 대가 죽었을 때 다른 라우터가 기존 라우터를 대체하는 것

장애 대비책으로 대부분 이중구조를 의미하고 전체 네트워크가 하나의 지점에서 발생한 장애로 인해 영향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로드 밸런싱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대신 두개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것.

데이터가 두 라인중 하나를 선택하기에 로드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어 속도가 두배가 된다.

추가적으로 회선이 하나가 끊어지면 다른 회선으로 이전하게 되는데 이 떄를 로드 밸런싱과 폴트 톨러런트를 겸하게 된다.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Algorithm)

자동으로 루핑을 검색해서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 간의 링크 중 하나를 끊어 놓는 것이다. 실제 링크는 두 개이지만 데이터는 한 쪽으로만 다니게 하는 것이다.

루핑을 미리 막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를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

링크가 끊어진 후 다시 연결되는 대 까지는 약 1분 이상 소요된다.

## 라우팅 혹은 스위칭

가격 : 라우터가 스위치보다 비싸다

속도 : 라우터는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 많기에 스위치가 더 빠르다.

구성의 편리함 : 스위치는 전원만 공급해 주면 된다.

그럼 스위치로만 구성하면 되는가? 아니다.

통신을 할 때에 상대편 MAC 주소를 찾기 위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브로드캐스트를 사용

스위치는 콜리전 도메인만 나눌 뿐.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눠주기 위해 라우터를 사용한다. 라우터 역할을 하는 스위치를 레이어 3 스위치라고 부른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눌 때에는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있다.

  • IP : 500 노드
  • IPX : 300 노드
  • AppleTalk : 200 노드

노드 :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비, 주로 PC 숫자

라우터는 스위치가 못하는 보안 기능인 패킷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전송을 막았다가 풀었다 하는 필터 기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트래픽이 전송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로드 분배기능을 가지고 있다.

  • 로드 분배 : 여러 개의 경로를 가지고 있기에 한쪽 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바로 다른 경로로 보낼 수 있다.

IP 주소

규칙이 있는 개인 번호

IP 주소는 이진수 32자리로 되어있기에 총 2^32개가 있다. 읽기 쉽게 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총 4개의 옥텟(8)으로 나눈다.

### IP 배정 방식 라우터에 배정해야 하는 IP 주소는 두개

  1. 이더넷 인터페이스용
  2. 시리얼 (Serial) 인터페이스용

###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

한 네트워크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영역

한 네트워크 상에서 네트워크 부분은 모두 같아야 하며 호스트 부분은 전부 달라야한다.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건너뛰면서 네트워크가 달라진다.

### IP 주소의 Class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른 구분법

  • 클래스 A : 맨 앞쪽 하나가 항상 0으로 시작된다.

0x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xxxx

앞의 8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나머지 24비트는 호스트 부분

네트워크 번호가 1~126으로 시작, 하지만 127은 제외 이건 약속

호스트가 전부 0인 경우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호스트가 전부 1인 경우는 호스트 모두에게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이기 떄문에 가능한 호스트 수는 2^24 - 2개 이다.

  • 클래스 B : 맨 앞이 반드시 10(이진수)로 시작된다.

10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xxxx

앞의 16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나머지 16비트는 호스트 부분

네트워크 번호가 128.1 ~ 191.255로 시작

모두 0인 경우와 모두 1인 브로트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2^16 - 2개 이다

  • 클래스 C : 맨 앞이 110(이진수)로 시작된다.

110x xxxx.xxxx xxxx.xxxx xxxx.xxxx xxxx

앞의 24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부분이다.

네트워크 번호가 192.0.0 ~ 223.255.255 로 시작

가능한 호스트 수는 위와 동일한 이유로 2^8 -2개 이다.

IP 클래스 정리

  • 클래스 A : 1~126 (127은 예비번호), 255.0.0.0
  • 클래스 B : 128~191, 255.255.0.0
  • 클래스 C : 192~223, 255.255.255.0
  • 클래스 D : 224~239 (멀티캐스트용 주소)
  • 클래스 E : 240~255 (연구용 주소)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주어진 IP 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나누어 주기 위해서 씌워주는 이진수의 조합

브로트캐스트 영역을 나누기 위해 사용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가지고 어디 까지가 네트워크 부분이고 어디까지가 호스트 부분인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는 서브넷 마스크가 이진수로 1인 부분이고 호스트는 이진수로 0인 부분이다.

서브네팅 (Subnetting)

하나의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를 씌워서 작은 네트워크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IP 주소의 호스트 부분의 일부를 네트워크 부분으로 바꾸는 작업

ex)

150.150.100.1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 이지만 새로운 서브넷 마스크인 255.255.255.0을 씌워 클래스 B 주소를 마치 클래스 C 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성질

서브넷은 하나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서로 나뉜 서브넷 끼리는 라우터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썼을 떄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 한다. 1과 1사이에 0이 있으면 안된다.

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0000 -> 가능
1111 1111.1111 1111.1111 1111.1011 0000 -> 불가능

스패닝 트리 (Spanning Tree Protocol, SPT)

목적지가 2개 이상 존재할 때 1개의 경로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끊어두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하나를 사용하는 방법

### 브리지 ID (BID)

Bridge ID 는 총 64비트(8Byte)로 이루어저 있고 그 중 앞의 16비트(2Byte)는 Bridge Priority, 나머지 48비트(6Byte)는 Mac Address로 구성되어있다.

xxxx xxxx xxxx xxxx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oooo

그 중 Bridge Priority는 2^16 - 1 가지가 올 수 있으며 디폴트 값은 중간 값인 32768(16 진수로는 8000)을 사용한다. Mac Address는 앞과 마찬가지로 고정된 값이다.

Priority는 낮은 값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 Path Cost

브리지가 얼마나 가까이, 빠른 링크로 연결되어있는지 알아내기 위한 값이다

원래 계산법은 1000Mbps를 연결되어있는 링크 대역폭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들어 10Mbps로 연결되어있는 두 스위치라면 Path cost는 100이다

차지만 요즘은 속도가 더 빨라졌기 때문에 소수점까지 값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값을 고정시켜 놓았다.

Bandwidth(대역폭)STP Cost(path Cost)
4Mbps250
10Mbps100
16Mbps62
45Mbps39
100Mbps19
155Mbps14
622Mbps6
1Gbps4
100Gbps2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1. 네트워크당 하나(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가진다
  2.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진다
  3.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드(Designated Port)를 갖는다

Root Bridge?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브리지(혹은 스위치)

Non Root Bridge?

루트 브리지를 제외한 모든 브리지(스위치),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즉 루트 브리지까지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를 가진다

Segment?

브리지(스위치) 사이에 서로 연결된 링크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지정포트(Designated Port)를 갖는다

스패닝트리 프로토콜

스패닝트리 프로토콜에서 루트 포트나 지정포트가 아닌 나머지 모든 포트는 막아버린다

STP에서의 순서

  1.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2.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3. 누구의 BID(Sender BID)가 더 낮은가?
  4.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브리지(스위치)는 스패닝 트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매 2초 간격으로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을 뿌리고 이를 통해 포트를 결정하게 된다

BPDU 안에는 Root BID, Root Path Cost, Sender Bid, Port ID를 담고있다

루트 포트 -> Designated Port -> Non Designated Port

실제 스위치에서 값 변경, 확인하기

1
2
3
sw(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100

sw(config)#show spanning-tree

추후 전체적인 실습 기록할 떄 없어질 수도

STP에서 루트 포트 선출하기

Path Cost가 가장 적게 드는 포트가 가장 루트 포트에 가까이 있다는 의미

루트 브리지 선출

위 예시에서 스위치 A는 루트 브리지, 스위치 B의 E0와 스위치 C의 E0가 루트 포트이다

STP에서 Designated Port 선출하기

세그먼트 상에서 Root Path Cost를 서로 비교해서 더 작은 Root Path Cost를 가진 포트가 Designated Port로 선출된다

Designated Port

위 예시에서는 세그먼트 1에서는 스위치 A의 E0, 세그먼트 2에서는 스위치 A의 E1이 Designated Port가 된다

  • 루트 브리지의 모든 포트들은 언제나 Designated Port로 선정

세그먼트 3에서는 Root Path Cost값이 같기에 위의 4단계를 통해 결정하게 된다

책의 예시에서는 Sender BID, 즉 자신의 BID값이 더 작은 B의 E1이 Designated Port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포트 (여기서는 스위치 C의 E1)은 ND(Non Designated Port)가 된다

STP 결과

### STP에서 스위치 포트의 5가지 상태변화

#### Disabled

고장나서 사용 불가이거나 일부러 정지시켜 놓은 상태

  • 데이터 전송 불가
  • MAC Address Learning 불가
  • BPDU 송신 및 수신 불가

#### Blocking

맨 처음 켜지거나 Disable상태에서 활성화 시켰을 때

  • 데이터 전송 불가
  • MAC Address Learning 불가
  • BPDU 송신 및 수신 가능

#### Listening

Blocking 상태에 있던 포트가 루트 포트나 Designated Port로 선정되면 Listening 상태로 변경, 하지만 다른 포트로 상태가 변하면 다시 Blocking 상태가 된다

  • 데이터 전송 불가
  • MAC Address Learning 불가
  • BPDU 송신 및 수신 가능

#### Learning

Listening 상태에 있던 포트가 포워딩 딜레이(Forwarding Delay) 디폴트 시간인 15초 동안 유지되면 러닝 상태로 변경, 이제야 MAC Address 테이블을 만들기 시작

  • 데이터 전송 불가
  • MAC Address Learning 가능
  • BPDU 송신 및 수신 가능

#### Forwarding

Learning 상태에서 변하지 않고 포워딩 딜레이 디폴트 시간인 15초 동안 유지되면 포워딩 상태로 변경

  • 데이터 전송 가능
  • MAC Address Learning 가능
  • BPDU 송신 및 수신 가능

SPT 포트 선정

### STP 연결 이후

STP 사이클이 완전하게 된 후

루트 브리지는 매 2초마다 Hello BPDU를 Non Root Bridge에 전송하고 받은 후 다시 루트 브리지로 전송하여 길이 아직 살아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만약 이 시간동안 헬로패킷을 받지 못하면 중간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여 다시 스패닝 트리를 재편성 하는 모드로 들어간다

  • Hello Time (헬로타임) : 루트 브리지가 ‘살아있나요?’하고 물어보는 시간, 디폴트 헬로타임은 2초

  • Max Age (맥스 에이지) : 브리지들이 루트 브리지로부터 얼마 동안 헬로패킷을 받지 못했을 때 루트브리지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스패닝트리를 만들기 시작하는 시간, 디폴트는 20초

  • Forwarding Delay (포워딩 딜레이) : 블로킹 -> 포워딩으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 하지만 실제 블로킹에서 포워딩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블로킹 -> 러닝 -> 포워딩으로 넘어가야 하기에 실제 걸리는 시간은 포워딩 딜레이 시간의 두배가 된다.

카타리스트 스위치

라우터

  • PoE : Power over Ethernet 이더넷 케이블에 데이터 + 전원을 실어 보내는 것

Catalyst 2960-48PST-L 을 예시로

48포트이고 P가 들어갔으니 PoE를 지원한다.

P뒤의 S와 T는 TP(UTP)방식과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 광캐이블)방식을 사용한다.

P뒤에 C가 있다면 ‘Dual Purpose Uplink’ 즉 SFP혹은 Base T 포트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 LED 상태

포트 LED 상태 pdf

## 스위치 구성

Cisco Packet Tracer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해보았다, 책을 따라서

나는 Cisco 장비가 없기에 트레이서를 통해 시뮬레이션 해보기로 하였다

switch 구성

구성은 이렇게 책에서는 Catalyst 2950스위치를 사용하라고 하였기에 트레이서에서 가장 비슷한 친구를 가지고 왔다

스위치에서 각 포트들의 상황을 볼 수 있는 명령어는 show interface status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Switch#show interface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a0/1                        connected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여기서 Duplex는 통신 방식으로 Half Duplex는 무전기처럼 한번에 한쪽에서만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고 Full Duplex는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Speed 또한 10Mbps와 100Mbps의 속도에서 선택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위 상황 모두 통신하여는 양쪽 모두 같은 상태를 가져야 통신이 가능하다

콘솔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컴퓨터를 한대 더 추가해 주었다

스위치(console), 컴퓨터(rs232)

switch 구성 콘솔 추가

이번에는 # 표시가 아닌 >표시 즉 유저 모드, Switch> 로 들어왔다 유저모드에서는 스위치의 상태만 볼 수 있고 구성을 확인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는 Privileged 모드로 들어가야한다

이를 위해 enable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1
2
 Switch>enable
 Switch#

이제는 >에서 #모양으로 바뀌었고 이 상태가 Privileged 모드이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구성 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1
2
3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

이런식으로 Switch#에서 Switch(config)#로 변경되면 구성모드가 된 것이다

이제 IP주소를 세팅하기 위해 컴퓨터와 연결된 Vlan 1으로 들어가서 세팅을 해보자

1
2
3
 Switch(config)#interface vlan 1
 Switch(config-if)#ip address 192.168.100.1 255.255.255.0
 Switch(config-if)#

IP는 192.168.100.1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으로 설정했다 구성모드를 빠져나올 때에는 exit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1
2
3
 Switch(config-if)#exit   -> 인터페이스 구성 모드에서 구성 모드로
 Switch(config)#exit      -> 구성 모드에서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Switch#

확인을 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witch#show interface vlan 1
 Vlan1 is administratively down, line protocol is down
  Hardware is CPU Interface, address is 00e0.f93a.63c3 (bia 00e0.f93a.63c3)
  Internet address is 192.168.100.1/24
  MTU 1500 bytes, BW 100000 Kbit, DLY 10000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Encapsulation ARPA, loopback not set
  ARP type: ARPA, ARP Timeout 04:00:00
  Last input 21:40:21, output never, output hang never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never
  Input queue: 0/75/0/0 (size/max/drops/flushes); Total output drops: 0
  Queueing strategy: fifo
  Output queue: 0/40 (size/max)
  5 minute in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5 minute out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1682 packets input, 530955 bytes, 0 no buffer
     Received 0 broadcasts (0 IP multicast)
     0 runts, 0 giants, 0 throttles
     0 input errors, 0 CRC, 0 frame, 0 overrun, 0 ignored
     563859 packets output, 0 bytes, 0 underruns
     0 output errors, 23 interface resets
     0 output buffer failures, 0 output buffers swapped out

IP주소가 성공적으로 할당되었다

이번에는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구성해보자

사실 지금 시뮬레이션에서는 라우터와 다른 스위치가 없기에 통신을 할 일이 없지만 만약 있다고 가정하고 해보자

1
2
3
4
5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p default-gateway 192.168.1.1
 Switch(config)#exit
 Switch#

이번에는 스위치의 포트와 Duplex를 세팅해보자

1
2
3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1

프리빌리지드 모드에서 변경해주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로 들어간다

이번에는 fastethernet 0/1

1
2
3
4
5
6
7
8
 Switch(config-if)#speed ?
  10    Force 10 Mbps operation
  100   Force 100 Mbps operation
  auto  Enable AUTO speed configuration
 Switch(config-if)#Duplex ?
  auto  Enable AUTO duplex configuration
  full  Force full duplex operation
  half  Force half-duplex operation

명령어를 잘 모를 경우 뒤에 ?를 붙이면 넣을 수 있는 옵션이 나온다

1
2
3
Switch(config-if)#speed 10
Switch(config-if)#duplex half
Switch(config-if)#exit

속도는 10Mbps, Duplex는 half 옵션을 사용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Switch#show interface fastethernet 0/1
FastEthernet0/1 is up, line protocol is up (connected)
  Hardware is Lance, address is 0060.2fde.3301 (bia 0060.2fde.3301)
 BW 10000 Kbit, DLY 10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Encapsulation ARPA, loopback not set
  Keepalive set (10 sec)
  Half-duplex, 10Mb/s       -> 여기
  input flow-control is off, output flow-control is off
  ARP type: ARPA, ARP Timeout 04:00:00
  Last input 00:00:08, output 00:00:05, output hang never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never
  Input queue: 0/75/0/0 (size/max/drops/flushes); Total output drops: 0
  Queueing strategy: fifo
  Output queue :0/40 (size/max)
  5 minute in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5 minute out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956 packets input, 193351 bytes, 0 no buffer
     Received 956 broadcasts, 0 runts, 0 giants, 0 throttles
     0 input errors, 0 CRC, 0 frame, 0 overrun, 0 ignored, 0 abort
     0 watchdog, 0 multicast, 0 pause input
     0 input packets with dribble condition detected
     2357 packets output, 263570 bytes, 0 underruns
     0 output errors, 0 collisions, 10 interface resets
     0 babbles, 0 late collision, 0 deferred
     0 lost carrier, 0 no carrier
     0 output buffer failures, 0 output buffers swapped out

매우 길지만 중간에 보면 Half-duplex, 10Mb/s라고 설정이 되었다

## 맥 어드레스는 어디에?

  • Dynamic 방식 : 자동으로 배우는 방식
  • Permanent 방식 : 수동으로 넣어주는 방식

Mac 테이블을 보기 위해 show mac-address-table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자

1
2
3
4
5
6
7
8
Switch#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Switch#

어…음… 통신을 안했으니 비어있는 것이 당연하다

고로 통신을 위한 컴퓨터를 추가해 주어 ping명령어를 통해 잠시 통신을 해보자

switch 구성 통신 추가

PC1 : 200.200.200.1

PC2 : 200.200.200.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ping 200.200.200.2

Pinging 200.200.200.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4ms TTL=128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Ping statistics for 200.200.200.2:
    Packets: Sent = 3, Received = 3,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14ms, Average = 4ms

Control-C
^C
C:\>

통신을 성공적으로 하였으니 이제 다시 MAC 테이블을 확인해 보자

1
2
3
4
5
6
7
8
9
Switch#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    0001.42b9.7439    DYNAMIC     Fa0/2
   1    0060.700c.204e    DYNAMIC     Fa0/1

드디어 두 컴퓨터의 MAC 주소가 보이게 되었다

맨 앞에는 Vlan이 나오고 그 옆에는 Mac주소, 그 옆에는 이 주소를 배운 방식이 Dynamic인지 Permanent인지에 대한 내용이, 마지막으로는 패킷을 어느 쪽으로 보낼지에 관련된 부분으로 첫번째 줄을 보자면 패스트 이더넷 0/2, 두번째 줄에서는 패스트 이더넷 0/1로 보낸다

### 스태틱 맥 어드레스 (static Mac Address)

맥 주소 테이블에 저장되어 지워질 일이 없는 주소

  • 지워질 걱정 없음
  • 주소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수정 불가능
  • 메모리가 낭비될 수 있음

명령어의 기본 형식을 살펴보자면

1
Switch (config) #mac-address-table static 'Mac 주소' vlan 'vlan id' interface 'interface id'

Mac 주소는 스태틱으로 지정할 MAC 주소

vlan id는 MAC 주소르 받아들인 vlan

interface id는 이 맥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주소가 들어오면 이 인터페이스 쪽으로 보낸다

이제 직접 설정해 보자

1
2
3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mac-address-table static aaaa.aaaa.aaaa vlan 1 interface fastEthernet 0/24

Mac 주소 aaaa.aaaa.aaaa가 vlan1을 통해 들어오면 패스트 이더넷 0/24로 보내라는 것을 스태틱으로 구현했다

1
2
3
4
5
6
7
8
Switch#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    aaaa.aaaa.aaaa    STATIC      Fa0/24

확인을 해보면 원래 있던 Dynamic 방식으로 만들어진 테이블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신을 하지 않으니 테이블에서 사라졌고 스태틱 주소는 잘 유지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맥 주소를 전부 지우려면? clear mac-address-table

1
2
3
4
5
6
7
Switch#clear mac-address-table
Switch#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 Vlan (Virtual Lan)?

VLAN을 이용하여 한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사용

가상 랭을 이용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어진 VLAN 간의 통신은 오로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포트를 트렁크 포트(Trunk Port)라고 한다

### 트렁킹

  • 트렁킹 : 여러개의 VLAN을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

트렁킹에 패킷을 태울 때 각각의 패킷에 이름을 붙여준다, 그리고 그 방식에는 ISL 트렁킹과 IEEE 802.1Q방식이 있다

#### 네이티브 VLAN (Native VLAN)

트렁킹을 할 때에 패킷에는 전부 이름표가 붙지만 이름표가 붙지 않은 패킷은 네이티브 VLAN으로 보내진다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한 개의 VLAN만을 네이티브 VLAN으로 세팅 가능하다

#### ISL (Inter-Switch Link)

시스코 장비 끼리만 사용하는 방식

네이티브 VLAN이라는 개념 없이 모든 VLAN에 이름을 붙인다

#### IEEE 802.1Q

표준 프로토콜

### VTP (VLAN Trunking Protocol)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 정보를 항상 일치시켜 주기 위한 프로토콜

시스코에서만 존재하는 프로토콜

#### VTP의 3가지 모드

VTP 서버 모드 :

VLAN을 생성, 삭제, 이름변경할 수 있고 도메인 안에 있는 다른 스위치에게 VTP 도메인 이름과 VLAN 구성을 전달해 줄 수 있다. VLAN의 정보를 비휘발성 RAM인 NVRAM에 저장해 놓았기에 꺼졌다 켜저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다.

VTP 클라이언트 모드 :

VLAN을 만들거나 삭제, 이름변경이 불가능하다. VTP 서버가 전달해준 VLAN 정보를 받고 받은 정보를 다른 VTP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 주는 것만 가능하다. 꺼졌다 켜졌을 경우 정보가 날아간다.

VTP 트랜스페어런트 모드 (Transparent Mode) :

VTP 도메인 안에서 살며 VLAN을 만들고 삭제할 수 있지만 만든 정보를 다른 스위치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하지만 서버를 통해 들어온 메시지를 다른 스위치로 전달해 주는 역할만 한다.

쉽게말해 나 혼자만 산다. (전달만)

로컬 위치에서 사용할 VLAN을 가진 스위치의 경우에 사용이 적합하며 NVRAM에 정보를 저장한다.

### VLAN 구성하기

  1. VTP 도메인 이름 만들기
  2. VTP 모드 설정 - 서버, 클라이언트, 트랜스페어런트
  3. VLAN 구성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2
3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Changing VTP domain name from NULL to cisco
Switch(config)#

책을 따라서 VTP 이름을 cisco로 설정합시다

1
2
3
Switch(config)#vtp mode server
Device mode already VTP SERVER.
Switch(config)#

모드를 서버로 구현하면? 이미 되어있다고 하는군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Switch#show vtp status
VTP Version                     : 1
Configuration Revision          : 0
Maximum VLANs supported locally : 255
Number of existing VLANs        : 5
VTP Operating Mode              : Server
VTP Domain Name                 : cisco
VTP Pruning Mode                : Disabled
VTP V2 Mode                     : Disabled
VTP Traps Generation            : Disabled
MD5 digest                      : 0xAA 0xB9 0x0C 0xCD 0xD7 0xE8 0xA6 0xE0 
Configuration last modified by 0.0.0.0 at 0-0-00 00:00:00
Local updater ID is 0.0.0.0 (no valid interface found)
Switch#

전체 상태를 보면? 이제 Mode는 server 도메인 이름은 cisco로 잘 설정되었네요

이제 트렁크 포트를 설정해 봅시다

라고 했는데 위에서 실습을 할 때 사용한 스위치는 세팅을 할 때 뭔가 이상해서 찾아보니 페스트 이더넷을 사용하려면 2950-24가 아니라 2950T-24를 사용해야 한다더군요.. 이런

switch 구성 통신 추가 T

이제 다시 처음부터 트렁크 포트를 설정하기 전까지 하고 오도록 하죠

위 과정을 다시 하고 나서 이제 트렁크 포트를 세팅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nt fa 0/1
Switch(config-if)#switchport ?
  access         Set access mod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mode           Set trunking mode of the interface
  nonegotiate    Device will not engage in negotiation protocol on this
                 interface
  port-security  Security related command
  priority       Set appliance 802.1p priority
  protected      Configure an interface to be a protected port
  trunk          Set trunk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voice          Voice appliance attributes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f)#

자 세팅이 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catalyst 2950버전으로 트렁크 모드가 IEEE 802.1Q만 존재하기에 ISL방식이 없다고 합니다

이제 세팅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을 해 봅시다 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Switch#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
Name: Fa0/1
Switchport: Enabled
Administrative Mode: trunk
Operational Mode: trunk
Administrative Trunking Encapsulation: dot1q
Operational Trunking Encapsulation: dot1q
Negotiation of Trunking: On
Access Mode VLAN: 1 (default)
Trunking Native Mode VLAN: 1 (default)
Voice VLAN: none
Administrative private-vlan host-association: none
Administrative private-vlan mapping: none
Administrative private-vlan trunk native VLAN: none
Administrative private-vlan trunk encapsulation: dot1q
Administrative private-vlan trunk normal VLANs: none
Administrative private-vlan trunk private VLANs: none
Operational private-vlan: none
Trunking VLANs Enabled: All
Pruning VLANs Enabled: 2-1001
Capture Mode Disabled
Capture VLANs Allowed: ALL
Protected: false
Appliance trust: none

여기서 dot1q는 트렁크모드 중 IEEE 802.1Q라고 합니다

잘 되었네요 스위치 전체에서 트렁크로 세팅된 포트를 살펴봅시다 show interface trun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Switch#show interface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Fa0/1       on           802.1q         trunking      1
Fa0/2       desirable    n-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Fa0/1       1-1005
Fa0/2       1-1005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Fa0/1       1
Fa0/2       1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Fa0/1       1
Fa0/2       1

Fa0/1가 트렁크로 설정된 포트입니다

이제 VLAN을 만들어봅시다

show vlan명령어를 통해 VLAN이 각 포트에 어떻게 배정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3, Fa0/4, Fa0/5,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VLAN Type  SAID       MTU   Parent RingNo BridgeNo Stp  BrdgMode Trans1 Trans2
---- ----- ---------- ----- ------ ------ -------- ---- -------- ------ ------
1    enet  100001     1500  -      -      -        -    -        0      0
1002 fddi  101002     1500  -      -      -        -    -        0      0   
1003 tr    101003     1500  -      -      -        -    -        0      0   
1004 fdnet 101004     1500  -      -      -        ieee -        0      0   
1005 trnet 101005     1500  -      -      -        ibm  -        0      0   

디폴트로 대부분의 포트가 (0/1, 0/2 제외 전부) VLAN으로 연결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책에서는 Fa0/2 또한 VLAN 1에 속해있던데 아무래도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할 떄에 뭔가 잘못 한 것 같군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Switch#show interface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a0/1                        connected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                        connected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Gig0/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Gig0/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어… 뭔가 잘못됬네요 분명 Fa0/1만 trunk로 만들었을 텐데 전부 다 변했군요

다시 한대의 컴퓨터만 연결 후 시도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Switch#show interface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Fa0/1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Fa0/1       1-1005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Fa0/1       1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Fa0/1       1

일단 trunk 포트는 한가지군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5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VLAN Type  SAID       MTU   Parent RingNo BridgeNo Stp  BrdgMode Trans1 Trans2
---- ----- ---------- ----- ------ ------ -------- ---- -------- ------ ------
1    enet  100001     1500  -      -      -        -    -        0      0
1002 fddi  101002     1500  -      -      -        -    -        0      0   
1003 tr    101003     1500  -      -      -        -    -        0      0   
1004 fdnet 101004     1500  -      -      -        ieee -        0      0   
1005 trnet 101005     1500  -      -      -        ibm  -        0      0   

VLAN에도 1번으로 모든 포트가 연결되어있군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Switch#show int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a0/1                        connected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5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6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7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8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19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0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1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2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3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4                       notconnect   trunk      auto    auto  10/100BaseTX
Gig0/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Gig0/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음… 아무래도 기본 세팅이 trunk로 되어있나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nt range fa0/2-24
Switch(config-if-range)#sw mo acc
Switch(config-if-range)#sw acc vlan 1
Switch(config-if-range)#exit
Switch(config)#exit
Switch#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Switch#show int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a0/1                        connected    trunk      auto    auto  10/100BaseTX
Fa0/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3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4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5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6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7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8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9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0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3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4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5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6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7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8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19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20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2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2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23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Fa0/24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Gig0/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Gig0/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BaseTX

이렇게 설정하였고 한줄 씩 보자면

1
Switch(config)#int range fa0/2-24

포트 fa0/2부터 fa0/24까지 선택

1
Switch(config-if-range)#sw mo acc

선택된 포트를 설정하기 위한 준비

1
Switch(config-if-range)#sw acc vlan 1

VLAN 1로 설정

하면 이제야 책과 같은 환경이 되었습니다

아직 저는 배우는 단계이기에 최대한 책을 따라가며 기록할 계획입니다…

만 책을 보니 fa0/2의 duplex나 speed가 바뀌어있던데 이건 아마 위의 다른 작업과정에서 설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 VLAN 세팅하는 방법

  • VLAN을 VLAN Configuration 모드에서 세팅하는 방법 (CatOS 방식)
1
2
3
4
5
6
Switch#vlan database
% Warning: It is recommended to configure VLAN from config mode,
  as VLAN database mode is being deprecated. Please consult user
  documentation for configuring VTP/VLAN in config mode.

Switch(vlan)#
  • VLAN을 Config-VLAN 모드에서 세팅하는 방법 (IOS 방식)

이름을 설정해서 접속 가능

1
2
3
4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vlan 2
Switch(config-vlan)#

VLAN 만들기

1
2
3
4
5
6
7
Switch(config)#vlan 2
Switch(config-vlan)#name CCND
Switch(config-vlan)#^Z
Switch#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Switch#

CCND 라는 이름의 VLAN 2를 생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5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2    CCND                             active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VLAN 2에 CCND 라는 이름의 VLAN이 생성되었다

VLAN 삭제

no만 붙여주면 된다

1
2
3
4
5
6
7
8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no vlan 2
Switch(config)#^Z
Switch#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Switch#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5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VTP 서버 모드로 작동중인 스위치의 VTP Revision 넘버는 VLAN이 추가, 삭제될 떄마다 하나씩 증가하기에 위 상태에선 3이 나오게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Switch#show vtp status
VTP Version                     : 1
Configuration Revision          : 3   -> 여기
Maximum VLANs supported locally : 255
Number of existing VLANs        : 5
VTP Operating Mode              : Server
VTP Domain Name                 : cisco
VTP Pruning Mode                : Disabled
VTP V2 Mode                     : Disabled
VTP Traps Generation            : Disabled
MD5 digest                      : 0x72 0x9E 0xFA 0x85 0x02 0xFB 0x40 0x16 
Configuration last modified by 0.0.0.0 at 3-1-93 00:39:58
Local updater ID is 0.0.0.0 (no valid interface found)
Switch#

만약 VTP 모드가 Transparent 모드였다면 VTP Revision 넘버는 증가하지 않기에 0이다

예시

이제 책을 따라 한번 Fa0/5번 포트를 VLAN2에 배정해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Switch#vlan database
% Warning: It is recommended to configure VLAN from config mode,
  as VLAN database mode is being deprecated. Please consult user
  documentation for configuring VTP/VLAN in config mode.

Switch(vlan)#vlan 2 name CCNA
VLAN 2 added:
    Name: CCNA
Switch(vlan)#exit
APPLY completed.
Exiting....
Switch#

VLAN을 만들고

스위치의 해당 포트를 배정하기 위해

1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vlan 번호]

를 입력하면 된다

1
2
3
4
5
6
7
Switch>enable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5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
Switch(config-if)#^Z
Switch#

확인을 해보면 아주 잘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2    CCNA                             active    Fa0/5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VLAN Type  SAID       MTU   Parent RingNo BridgeNo Stp  BrdgMode Trans1 Trans2
---- ----- ---------- ----- ------ ------ -------- ---- -------- ------ ------
1    enet  100001     1500  -      -      -        -    -        0      0
2    enet  100002     1500  -      -      -        -    -        0      0
1002 fddi  101002     1500  -      -      -        -    -        0      0   
1003 tr    101003     1500  -      -      -        -    -        0      0   
1004 fdnet 101004     1500  -      -      -        ieee -        0      0   
1005 trnet 101005     1500  -      -      -        ibm  -        0      0   

VLAN Type  SAID       MTU   Parent RingNo BridgeNo Stp  BrdgMode Trans1 Trans2
---- ----- ---------- ----- ------ ------ -------- ---- -------- ------ ------

Remote SPAN VLANs
------------------------------------------------------------------------------

Primary Secondary Type              Ports
------- --------- ----------------- ------------------------------------------
Switch#

하지만 show vlan명령어는 너무 많은 정보를 알려주고 우리가 필요한 정보만 간단히 보려면 show vlan brief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Switch#show vlan brief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2    CCNA                             active    Fa0/5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Switch#

그럼 다시 Vlan 1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다시한번 no만 붙여주면 된다

1
2
3
4
5
6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int fa0/5
Switch(config-if)#no switchport access vlan 2
Switch(config-if)#^Z
Switch#

확인해보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show vlan brief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Fa0/5
                                                Fa0/6, Fa0/7, Fa0/8, Fa0/9
                                                Fa0/10, Fa0/11, Fa0/12, Fa0/13
                                                Fa0/14, Fa0/15, Fa0/16, Fa0/17
                                                Fa0/18, Fa0/19, Fa0/20, Fa0/21
                                                Fa0/22, Fa0/23, Fa0/24, Gig0/1
                                                Gig0/2
2    CCNA                             active    
1002 fddi-default                     active    
1003 token-ring-default               active    
1004 fddinet-default                  active    
1005 trnet-default                    active    
Switch#

잘 바뀌었네요!

### VLAN 마지막 예시 따라해보기!

VLAN 마지막

위 사진과 같이 세팅을 하러 가봅시다!

(아직 위 사진의 PC0은 스위치의 Fa0/5포트에, PC1은 스위치의 Fa0/3포트에 연결되어있다)

스위치의 구성모드로 들어가서 스위치의 이름Cat2950과 패스워드cisco를 세팅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Switch>enable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host
% Incomplete command.
Switch(config)#hostname Cat2950
Cat2950(config)#enable password cisco
Cat2950(config)#^Z
Cat2950#

다음으로 스위치 VLAN 1에 IP주소를 10.10.10.2로 설정하고 디폴트 게이트웨이도 10.10.10.1로 설정합시다

1
2
3
4
5
6
7
8
Cat2950#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at2950(config)#interface vlan 1
Cat2950(config-if)#ip address 10.10.10.2 255.255.255.0
Cat2950(config-if)#exit
Cat2950(config)#ip default-gateway 10.10.10.1
Cat2950(config)#^Z
Cat2950#

이번에는 VTP 모드를 세팅해 봅시다, 트랜스페어런트 모드로 말이죠

1
2
3
4
5
6
7
8
Cat2950#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at2950(config)#vtp mode transparent
Setting device to VTP TRANSPARENT mode.
Cat2950(config)#vtp domain cisco
Changing VTP domain name from NULL to cisco
Cat2950(config)#^Z
Cat2950#

그 후 확인을 해보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at2950#show vtp status
VTP Version                     : 1
Configuration Revision          : 0
Maximum VLANs supported locally : 255
Number of existing VLANs        : 5
VTP Operating Mode              : Transparent -> 요기
VTP Domain Name                 : cisco -> 요기
VTP Pruning Mode                : Disabled
VTP V2 Mode                     : Disabled
VTP Traps Generation            : Disabled
MD5 digest                      : 0xAA 0xB9 0x0C 0xCD 0xD7 0xE8 0xA6 0xE0 
Configuration last modified by 0.0.0.0 at 0-0-00 00:00:00
Cat2950#

표시한 곳이 제대로 변경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디폴트로 만들어져있는 VLAN 1을 두고 VLAN 2를 만들어 봅시다

1
2
3
4
5
6
Cat2950#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at2950(config)#vlan 2
Cat2950(config-vlan)#name CCNA
Cat2950(config-vlan)#^Z
Cat2950#

그 후 트렁크 포트를 설정해 봅시다

포트 Fa0/0을 트렁크로 세팅하고 모드는 IEEE 802.1Q로 세팅해 봅시다

1
2
3
4
5
6
7
Cat2950#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at2950(config)#interface fa0/1
Cat2950(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Cat2950(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all
Cat2950(config-if)#^Z
Cat2950#

위 설정에서 모드를 trunk 로만 잡았는데 책에서 말하길 Catalyst 2950은 IEEE 802.1Q만 지원되기에 따로 선택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이제 포트를 VLAN에 배치해 봅시다

VLAN 1에 Fa0/3 포트를 VLAN 2에 Fa0/5번 포트를 배치해 줍시다

라고 해도 VLAN 1은 디폴트 VLAN에 속해있기에 VLAN 2만 설정해 주면 된답니다

1
2
3
4
5
6
7
8
9
10
Cat2950#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Cat2950(config)#interface fa0/5
Cat2950(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2 -> 뜨어쓰기 조심...
                                         ^
% Invalid input detected at '^' marker.
	
Cat2950(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
Cat2950(config-if)#^Z
Cat2950#

어.. 아직은 스위치를 다루는 것 밖에 하지 않았는데 라우터의 구성도 들어가게 되네요 한번 해봅시다

이번에는 VLAN을 활용하기 위해 라우터에서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스위치 포트에서 라우터로 들어가게 되는 길이 현재 하나 이지만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여러개의 서브 인터페이스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 부분을 더 자세하게 하려면 라우터 부분을 들어가야겠습니다

일단 해보죠

라우터의 이름과 비밀번호 지정하기

1
2
3
4
5
6
Router#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hostname Router01
Router01(config)#enable password cisco
Router01(config)#^Z
Router01#

스위치랑 매우 유사하네요

헌데 위 사진에서 보이듯 붉은 세모 표시가 뜨며 연결이 안 되어있죠 그 이유는 스위치와 라우터를 연결한 Fa0/0이 디폴트로 shutdown되어있기에 no shutdown명령어로 살린 뒤 아까 설명한 서브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VLAN을 지정해 주면 된다고 해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Router01#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01(config)#interface fa0/0
Router01(config-if)#no shutdown

Router01(config-if)#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Router01(config-if)#exit
Router01(config)#

라우터가 살아났다

오오 정말로 라우터 통신이 살아났네요!

이제 서브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VLAN 세팅을 해줍시다

1
2
3
4
5
6
7
8
9
10
Router01(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1
Router01(config-subif)#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1,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1, changed state to up

Router01(config-subif)#encapsulation dot1Q 1 native
Router01(config-subif)#ip address 10.10.10.1 255.255.255.0
Router01(config-subif)#exit
Router01(config)#

하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Router01(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2
Router01(config-subif)#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2,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2, changed state to up

Router01(config-subif)#encapsulation dot1Q 2
Router01(config-subif)#ip address 10.10.11.1 255.255.255.0
Router01(config-subif)#^Z
Router01#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Router01#

둘 모두 연결 했습니다

이렇게 라우터 구성은 끝났고 ping을 사용해 확인해 봅시다 통신이 되는지!

생각해보니 PC ip 설정을 안했더군요

  • PC 0

ipv4 : 200.200.200.1

subnet mask : 255.255.255.0

  • PC 1

ipv4 : 200.200.200.2

subnet mask : 255.255.255.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ping 200.200.200.2

Pinging 200.200.200.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200.200.200.2: bytes=32 time=1ms TTL=128

Ping statistics for 200.200.200.2: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1ms, Average = 0ms

C:\>

오오오 성공 했네요

이제 드디어 라우터로 넘어가 봅시다


라우터 부터는 다음 페이지로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